오늘의 Top 경제뉴스(23. 1. 31. Tues)
1.오늘의 시황
한국 주가
|
코스피 2449
|
코스닥 739
|
(22.5월 비교, 코스피 코스닥
150포인트 하락) |
미국 주가
|
다우지수 33717
|
S&P 500지수 4017
|
(22.5월 비교, 다우지수, S&P 500지수 상승 또는 유지)
|
환율
|
달러 살때 1251
|
달러 팔때 1208
|
(22.5월 비교, 원화 대비 달러의가치가 하락)
|
금리
|
한국은행
기준금리 3.50% |
미연준
기준금리 4.25~4.5% |
|
2.주요 경제뉴스







3.블로그지기의 생각
1월31 ~ 2월1일 미국 FOMC 회의에 따라 향후 금리인상의 상승폭이 결정될 것이며, 미국 연준의 현상황에 대한 스탠스와 파월의장의 발언을 통해 매파적성향을 유지할 것인지, 비둘기파적인 대화가 조금이나마 등장할 것인지 보는 것도 재미가 있을 듯합니다.
기사를 보면 현재 한국 주식 시장은 하락 후 반등중에 있으며, 이는 올해 하반기쯤에는 금리가 연착륙하고 추가적으로 금리인하까지 갈 수 있을 것이라는 주식시장의 시장참여자들의 예측이 어느정도 선반영되어 있지는 않을까 싶습니다.
이와 대조적으로 개인들은 시장의 하락을 예상하여, 하락에 배팅을 하고 있으며 손실을 -20%정도 보고 있다는 기사의 내용을 통해 주식 시장에서 개미들이 이익을 보기는 쉽지 않은 것을 볼 수 있으며, 시장을 예측하고 맞추려하는 것은 얼마나 어려울까 간접적으로 체감합니다.
아파트 정비사업 분양가는 과거 5년전과 비교하여 최대 70%까지 상승했다는 기사를 보면 땅값과 원자재가격의 상승, 높은 인건비, 노조의 비효율성 등 복합적인 요소들의 콜라보 작용으로 인해 분양가의 상당한 상승을 보여줍니다. 뿐만 아니라 코로나19사태 당시 금리인하와 자금 유동성이 부동산시장에 유입되어 부동산 자산가격의 상승도 어느정도 부추겼다는 점도 영향을 주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현재 부동산 시장, 서울 구로구 천왕역모아엘가트레뷰아파트(2025년7월예정) 분양가격을 보면 84기준, 10억을 형성하고 있네요.
앞으로의 주식과 부동산 시장은 어떻게 될지, 소중한 우리들의 자산을 어떻게 지키고 키워나갈 수 있을지, 경제를 보는 거시적인 안목을 키워나가야 할 때인 것 같습니다.
